으음.... 뭔가 작법토론소의 질문에 답을 하다가 갑자기 든 생각인데 말이죠. 답변을 하다가 '한국형 라이트 노벨'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관심이 많기도 했고 나름대로 그쪽을 지향하기도 해서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린 상태이기는 한데 돌이켜 생각하니 이거 완전 부실한 정의였더군요.
한국에 정서에 맞는 작품 -> 정치인 비난하는 고등학생들 나오면 되는걸까요?
한국에만 있는 것 -> 추운날 여자한테 겉옷 벗어주지않으면 매너없는 남자가 되는 문화 이걸로...?
한국어로 써있는것-> 번역체는 으찌함...?
이러한 이유들로 그냥 자기가 패러디로 가득채우지않으면 한국적이라고 생각해요
한국인이, 한글로, 자신의 생각을 쓰는데 외국거는 아니잖아요?
일본형 라이트노벨이라고 해서 무대가 일본이고 일본식 사고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본 라노벨에서 지향하는 방향성을 일본형 라노벨이라고 해야 할 겁니다. 물론 그 방향성에는 자국의 사고와 문화가 녹아있겠지만 그것은 부수적인 옵션입니다. 중요한 것은 방향성(또는 트렌드)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한국형 라이트노벨은? 아직 자리가 제대로 잡히지 않다보니 일본 라노벨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어 아직 독자적인 방향성이 나오지 않았다고 봅니다. 좀 더 시장 규모가 커지고 많은 작가들이 참여하면서 독자적인 방향을 이끌어 낸다면 그것이 한국형 라이트노벨이 될 것입니다. 꼭 한국이 무대고 된장국이 나와야 하고 김치가 나온다고 해서 한국형 라이트노벨은 아닙니다.
모든 시장이 초기에는 선진시장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속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독자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고요ㅋ 우리나라도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작가들이 많을 테니 아마 새로운 방향성을 이끌어내겠죸
갠적인 생각으로는 남들 다 쓰는 글 말고 신선한 아이디어로 독자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낸다면 그것이 한국형 라이트노벨의 시초가 될 수도 있겠다 싶네요ㅋㅋ